가정용 빔프로젝터는 집에서 대형화면으로 영화감상이나 게임을 즐기기 위한 제품입니다. 가정용 빔프로젝터를 선택할 때는 루멘, 화질, 앱 탑재, 초점거리, 사운드와 소음 등 여러 체크포인트들이 있습니다. 이런 항목들을 이해하고, 추천 가정용 빔프로젝터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빔프로젝터 구매 체크포인트
1. 밝기 / 루멘 / 안시 루멘
빔프로젝터는 TV와 달라서 낮에 빔프로젝터를 사용할 때 영상이 안 보일 수도 있습니다. 빔프로젝터의 밝기는 루멘(lm)이라는 단위를 사용하는데, 일반적인 플래시 라이트는 1000루멘, 스마트폰의 손전등 루멘이 대략 40 ~ 50 루멘이라고 하니 대략 감이 오실겁니다.
아래 이미지는 커튼을 친 방(독서 가능한 수준의 밝기)에서 600 루멘과 3,000 루멘을 비교한 사진입니다.

왼쪽이 3,000 루멘, 오른쪽이 600 루멘인데요, 차이가 확실히 큽니다. (아주 어두운 환경이면 600 루멘으로 감상하는 것도 문제 없어보입니다만), 루멘이 높을수록 좋습니다. 그런데 가격도 함께 상승하긴 하지만, 일반 가정용 빔프로젝터라면 적어도 1000 루멘 이상 제품으로 선택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봅니다.
그런데, 이 루멘 값이 사실 제조업체의 발표 수치입니다. A사 3000 루멘의 프로젝터와 B사 2000 루멘의 프로젝터를 비교해보니 오히려 2000루멘의 B사 제품이 더 밝게 보일 수도 있는 겁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NSI 루멘이 등장합니다.
안시 루멘은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에서 정한 루멘 표준으로 모든 제조업체가 동일한 표준에 따라 광도를 측정하도록 한 것으로 광원을 측정하는 것이 아닌, 투영된 대상(프로젝션 표면 밝기)의 밝기를 표기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안시 루멘 값 < 루멘 값보다 많이 작습니다. 루멘 값이 1000lm이지만 ANSI 루멘 값은 100 안시(ANSI) 루멘 등. 그리고 루멘 값이 제조업체 자체 표기이다보니 00 루멘 = 0 안시루멘 같은 변환은 불가능합니다. 또 안시 루멘 표기는 강제가 아니기에 표기를 하지 않는 제품들도 있습니다.
참고로 프로젝터 제조업체 중 한 곳이 제시한 적정 루멘 값은 아래와 같습니다.
루멘 값 | 사용 환경 |
1,000lm | 일반적인 가정의 침실에서 사용 |
2,000~3,000lm | 10명 이하로 앉을 수 있는 작은 회의실 |
3,001~4,500lm | 최대 30명까지 수용 가능한 중형 회의실 |
4,501~7,000lm | 넓은 대형 회의실 |
7,001lm 이상 | 홀과 강당 |
2. 빔프로젝터 명암비
다음은 빔프로젝터의 명암비입니다. 명암비란, 화면에서 가장 밝은 곳과 어두운 곳의 차이로 명암비가 클수록 뚜렷하게 보이는 포인트로 루멘 만큼 중요한 체크포인트입니다.
예를 들어 영상에서 가장 밝은 부분을 1,000cd/㎡, 가장 어두운 부분이 1cd/㎡로 계측되었다고 한다면 명암비는 1,000:1이 되는겁니다.
명암비도 루멘처럼 제조사가 발표한 수치이고, 비표시 제품들도 많기 때문에, 사실 실물을 보지 않고 수치만 보고 완벽한 선택을 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그래서 동일한 가격대 중 높은 명암비 빔프로젝터를 선택하는 것이 최선 아닐까 싶습니다. 명암비가 50000:1 이상이면 문제 없습니다.
3. 빔프로젝터 화질, 해상도
해상도는 비교적 익숙한 개념입니다. 해상도는 가로 픽셀의 숫자 곱하기 세로 픽셀의 숫자인데 FHD (풀 HD)의 해상도는 HD의 2배로 1920 x 1080, 계산하면 대략 200만개의 점으로 화면이 만들어 집니다.
블루 레이의 영상 해상도가 일반적으로 FHD로 기록이 됩니다. 그래서 가정용 빔프로젝터에서 FHD 정도 해상도라면 훌륭한 영상을 즐길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FHD보다 고화질의 영상을 즐기고 싶은 경우에는 4K 해상도 프로젝터를 추천합니다. 4K 해상도는 FHD의 4배인 3840×2160으로 대형 스크린에서도 아름다운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최신 유튜브 영상이나 넷플릭스 스트리밍 서비스들이 4K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4. 빔프로젝터 거리 / 단초점 / 초단초점
빔프로젝터 구매 체크포인트 4번째 항목은 거리, 즉 투사 거리입니다. 단초점 프로젝터에 대한 표준 정의는 없습니다. 일반적인 프로젝터보다 짧은 초점 거리로 1미터 이하 거리에서 100인치를 투사한다면 단초점 빔프로젝터라 할 수 있습니다.
거실이 아닌 본인의 방에서, 또 원룸 생활자의 경우에는 단초점 프로젝터를 선택하는 것이 안전할 것입니다. 그러나 가격이 올라갑니다.
초단초점 빔프로젝터도 정확히 몇 cm라는 규정은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30~40cm 이하 거리에서 큰 왜곡 없이 사용 가능한 프로젝터를 말합니다. 100인치 사이즈를 25cm 정도의 거리에서 쏜다면 초단초점 프로젝터.
초단초점 빔프로젝터는 초광각 렌즈를 사용하기 때문에 왜곡이 발생합니다. 아래 이미지처럼 말이죠. 초단초점 전용 스크린도 있습니다만, 아무튼 초단초점 빔프로젝터를 사용할 때는 최대한 스크린이 평면인 상태에서 사용해야 합니다.
5. 영상 송출 방식 / 3LCD / DLP / LCOS
3LCD 방식이란, RGB 3색을 각 3개의 액정패널에서 처리 후 합성하는 방식으로 색 재현성이 높고 선명한 영상을 재현합니다. 많은 홈 프로젝터들이 3LCD 방식입니다.
DLP 방식이란, DMD라고 하는 마이크론 단위의 거울로 된 사각형의 DLP 칩에 빛을 반사시켜 투영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빛의 3원색으로 생긴 컬러 휠을 고속 회전시켜서 잔상 효과에 의해 영상을 송출하는 방식.
높은 광량으로 밝은 영상을 송출할 수 있고, 명암비가 높아서 선명한 화질과 문자 등의 텍스트들의 표현이 높습니다. 구조 자체가 심플해서 내구성이 좋고, 작은 사이즈 빔프로젝터에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LCOS 방식은 반사형 액정 패널을 이용하여 RGB 영상을 만든 후 프로젝터 내에서 합성하여 투사하는 투영 방식입니다. 해상도와 명암비가 높기 때문에 4K 영상에 대응할 수 있는 모델이 많습니다. 다만, LCOS 방식은 하이엔드 모델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가격대가 많이 높은 것이 단점입니다.
6. Hz (헤르츠) 주사율 / 입력 지연
헤르츠는 영상에서 초당 몇개 프레임을 표시하는가? 입니다. 만약 1헤르츠라면 초당 1장의 이미지가 송출되는 거죠. 일반적으로 60 헤르츠 이상이면 전혀 문제 없습니다.
입력지연이란 인풋렉이라고도 하는데 사용자 조작이 반영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주로 게임용 마우스에서 중요한 팩터로 작용합니다.
만약 프로젝터로 게임을 즐기고 싶은 용도라면, 주사율과 입력지연 체크 항목이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콘솔 게임의 경우 주사율이 120 헤르츠도 나오는데 게임 플레이 중 인풋렉이 심하면 안되기 때문입니다.
제품 설명에 게임 지원, 낮은 입력지연 같은 항목이 있다면 게임용 프로젝터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므로 잘 확인해야 합니다.
7. 키스톤 기능
빔 프로젝터의 키스톤 기능이란, 스크린에 비출 때 영상의 각도가 올려본 각도, 혹은 부각 (수평보다 내려다 보는 각도)으로 사다리꼴 형태로 왜곡될 수 있습니다.
특히 원룸처럼 집 구조가 조밀한 경우에는 적절한 스페이스 확보가 안되어서 비스듬하게 놓을 수 밖에 없죠. 이 때 필요한 것이 키스톤 기능입니다.

따라서 수평각, 수직각 몇도 조정이 가능한가? 또 자동 키스톤 기능이 탑재된 제품인가를 꼭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키스톤 기능은 전체 화면을 맞추는 것이 아닙니다. 길이가 짧은 쪽 기준으로 긴 쪽을 줄이는 구조이기 때문에 원래의 전체 화면 대비 화면이 조금 잘리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8. 빔프로젝터 음질 / 스피커 / 소음
빔프로젝터에 음질? 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영화 감상용 빔프로젝터나 게임용 빔프로젝터 어느쪽이든 음질 역시 중요한 요소입니다. 물론 음향 스피커를 별도로 둘 수도 있겠지만…
빔프로젝터는 크기의 제약이 있으므로 스피커의 성능이 한정되어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제품 중에는 2.1ch 스피커를 채용하고 있는 제품도 있고, 또 하만 등 전문 스피커 브랜드의 스피커를 채용한 제품도 있으므로 스피커 부분도 체크해 봅시다.
한편 소음도 신경 쓰이는 부분입니다. 소음 데시벨은 아래 기준표를 참고하면 좋겠습니다. 소음이 신경 쓰이는 분들은 가능한 소음이 낮은 (35dB 이하) 제품이 좋겠죠.

9. 기타 편의 사항
앱 내장, 이 부분도 중요합니다. 스마트 TV처럼 프로젝터 내부에 넷플릭스, 유튜브 앱이 설치된 것이 당연히 좋겠죠? 두번째는 무선 연결 부분입니다만, 최근의 많은 제품들은 와이파이 접속, 블루투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 접속단자에서 USB C 타입 지원여부는 스마트폰 연결에 필요한 부분이니 이것도 체크합시다.
가정용 빔프로젝터 추천 모델
LG 가정용 빔프로젝터 시네빔 HF65LA

88만원 정도 가격대로 가성비 빔프로젝터입니다. 단초점 렌즈로 원룸 등 집이 넓지 않은 환경에서 사용하기 좋습니다.
안시루멘은 1000이 나오고, FHD 지원, 최대 화면 크기는 100인치 (254cm), 명암비는 150,000:1로 상당히 좋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와이파이, 블루투스 연결 및 캐스팅이 가능하고 오디오는 버추얼 서라운드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4개 모서리 키스톤 기능이 지원되고 있습니다. 소음 부분은 최대 절전 데시벨이 21까지 낮기 때문에 소음도 매우 적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국산 제품이기 때문에 AS 등 구매 후 지원부분도 좋겠죠.

Anker 네뷸라 코스모스 D2140

최대 120인치의 프로젝션을 지원하는 가정용 빔프로젝터입니다. FHD 해상도를 지원하며 안시루멘은 810 안시로 밝기가 아쉽습니다. 명암비가 1,000:1로 명암비 부분도 조금 아쉬워 보입니다.오토포커스 기능과 키스톤 기능이 탑재되고 있습니다.
USB, HDMI, 블루투스, 미러링 등 다양한 연결 방식을 지원합니다. 앵커 사의 기능인 Dynamic Smoothing으로 게임도 대응되는 모델로 전천후 대응이 되는 제품.
사운드 특징으로는 서라운드 지원의 돌비 디지털 플러스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유튜브, 넷플릭스, Tving, 왓챠플레이, 크롬캐스트 내장 지원이 되기 때문에 별도 유선 연결 없이 즐길 수 있는 가정용 빔프로젝터로 추천할만한 제품입니다.

엡손 EPSON EF-12 미니 프로젝터

제조사에 의하면 세계에서 제일 작은 안드로이드 TV가 탑재된 3LCD 스마트 미니 프로젝터라고 합니다. 최대 150인치 대화면 투사로 상당히 크네요. 영사 방식은 3LCD 방식이고 루멘은 1,000lm, FHD 해상도 지원합니다. 명암비가 2,500,000:1로 상당히 높습니다.
175 x 128 x 175mm 사이즈로 아주 작습니다. 투사 거리는 60cm부터 가능한 단초점 렌즈입니다.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단초점이지만 초단초점처럼 공간이 작은 방에서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사운드 부분에서 야마하의 고음질 스피커를 내장하고 있어 파워풀하고 입체적인 음질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오토 포커스와 오토 키스톤 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디자인 측면에서 가죽 같은 고급스러운 질감과 매트 블랙으로 디자인에도 신경을 쓰는 분이라면 추천드릴 수 있는 빔프로젝터.
앵커 빔프로젝터 Nebula D2421N12

원통형으로 사이즈는 80×150mm, 맥주캔보다도 약간 작은 사이즈로 들고 다니기 편한 모바일 프로젝터입니다. 원룸에서 TV 없이 영화감상 용도나 캠핑 시 사용하기에 편리한 미니 프로젝터. 배터리 내장으로 전원 연결 없이 3시간 정도 재생이 가능합니다.
오토 포커스 기능, 키스톤 대응 가능하며 투영 가능 사이즈는 100인치, Android TV 9.0을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본체에 동영상 앱을 직접 다운로드 해서 사용하면 됩니다.또 HDMI나 USB, Bluetooth, Chromecast 등 접속도 전부 가능합니다.
아무래도 화질과 밝기 측면에서는 약합니다. 200 안시루멘, FHD가 아니라 HD(1280×720) 지원, 영화 감상용보다는 캠핑장 등 아주 어두운 환경에서 휴대하면서 즐기는 용도로 사용하는 제품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가정용 빔프로젝터 Frequently Asked Questions
1. 가정용 빔프로젝터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요?
가정용 빔프로젝터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밝기(루멘)**, **해상도**, **명암비**입니다. 이외에도 설치 환경에 따라 **투사 거리**와 **스피커 성능**도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밝기는 낮에도 잘 보이는지를 결정짓기 때문에 1000 안시 루멘 이상을 추천합니다.
2. 루멘과 ANSI 루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루멘은 빔프로젝터에서 광원을 측정하는 단위로, 제조업체마다 측정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반면 **ANSI 루멘**은 **표준화된 방법**으로 측정하여 투영된 화면의 실제 밝기를 나타냅니다. ANSI 루멘 값이 더 신뢰성이 높으며, 제품 선택 시 ANSI 루멘 표기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단초점과 초단초점 빔프로젝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단초점 빔프로젝터**는 약 1미터 거리에서 100인치 이상의 화면을 투사할 수 있는 제품을 말하며, **초단초점 빔프로젝터**는 30cm 이내의 거리에서 대형 화면을 투사할 수 있는 제품을 말합니다. 좁은 공간에서 사용하려면 초단초점 제품이 유리하지만 가격이 높을 수 있습니다.
4. 빔프로젝터의 명암비는 왜 중요한가요?
**명암비**는 화면에서 가장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차이를 나타내며, 명암비가 높을수록 화면의 **명확도**가 증가하여 선명한 영상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명암비가 50000:1 이상인 제품을 추천하며, 어두운 곳에서 영화를 볼 때 중요한 요소입니다.
5. 빔프로젝터로 게임을 즐기려면 어떤 기능을 확인해야 하나요?
게임용으로 빔프로젝터를 사용할 때는 **주사율(Hz)**과 **입력 지연 시간**을 중요하게 봐야 합니다. 주사율은 초당 프레임 수를 의미하며, **60Hz 이상**을 추천합니다. 또한, 입력 지연 시간이 낮은 프로젝터는 게임 플레이 시 **조작 반응 속도**가 빨라집니다.
6. 가정용 빔프로젝터의 키스톤 기능이란 무엇인가요?
**키스톤 기능**은 빔프로젝터가 설치 위치에 따라 영상이 왜곡되는 문제를 해결해줍니다. 사다리꼴로 왜곡된 화면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정하여 정상적인 화면 비율로 투사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좁은 공간에서 빔프로젝터를 사용할 경우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7. 내장 스피커가 있는 빔프로젝터는 음질이 괜찮은가요?
내장 스피커가 탑재된 빔프로젝터는 공간 절약과 간편한 사용에 좋지만, 대체로 고급 외부 스피커에 비해 음질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하만 카돈** 또는 **야마하**와 같은 브랜드의 스피커가 탑재된 제품은 상대적으로 좋은 음질을 제공하며, 소음 수준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